2025. 8. 9. 15:01ㆍ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의 중요성
1. 들어가며
사회복지 실천은 지식·기술·가치라는 세 가지 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중 지식과 기술이 ‘무엇을, 어떻게’라는 수단의 영역이라면, 가치와 윤리는 사회복지사의 마음가짐과 방향을 결정하는 근본적인 나침반입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한 클라이언트와 마주하는 사회복지사는 단순한 기술적 지원을 넘어,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가치
📌 2-1. 가치란 무엇인가?
가치(value)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신념·목표를 말합니다.
개인의 가치관은 일상적인 선택과 행동을 결정하고, 집단이나 사회가 공유하는 가치는 그 사회의 문화와 제도를 이끕니다.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는 사회복지사가 무엇을 우선시하고 어떤 방향으로 업무를 수행할지에 대한 기본 틀을 제공합니다.
가치는 ‘믿음’이고, 윤리는 그 믿음을 행동으로 옮길 때의 ‘판단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2-2. 사회복지실천의 6대 핵심 가치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가 제시하는 여섯 가지 핵심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비스(Service) –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고 사회문제에 대응
- 사회정의(Social Justice) – 불평등과 부정을 바로잡기 위해 행동
- 인간 존엄성 및 가치(Dignity and Worth of the Person) – 모든 사람의 존엄을 존중
- 인간관계의 중요성(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 – 인간관계를 변화와 성장의 핵심 요소로 인식
- 충실(Integrity) – 신뢰받는 전문가로서 정직하고 성실하게 행동
- 능력(Competence) – 자신의 전문 영역 안에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
📌 2-3. 가치가 중요한 이유
- 인간 존엄성 보호 : 상황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존엄을 지키는 것이 사회복지사의 기본 의무입니다.
- 사회 정의 실현 : 빈곤, 차별과 같은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데 가치는 필수입니다.
- 전문성 유지 : 자신의 능력 안에서 성실하게 일하며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하게끔 이끄는 기준이 됩니다.
즉, 가치는 사회복지사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일할 것인지를 결정짓는 근본이 됩니다.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
📌 3-1. 윤리란 무엇인가?
윤리(ethics)는 사회적 관계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와 행동 기준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윤리는 업무 수행 과정에서 무엇이 옳고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이를 위해 윤리강령이 마련됩니다.
📌 3-2. 윤리강령의 기능
- 윤리적 갈등 해결 지침 제공
- 클라이언트 보호를 위한 자기 규제
- 전문성 확보 및 외부 부당 개입 예방
- 대중에게 사회복지사의 기본 자세와 역할 알림
- 윤리 의식과 민감성 향상
법적 강제성은 없지만, 사회복지 전문가라면 마땅히 지켜야 하는 행동의 기준입니다.
📌 3-3. 윤리가 중요한 이유
- 도덕적 딜레마 해결 : 복잡한 상황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돕습니다.
- 신뢰 형성 : 비밀 보장과 공정한 대우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뢰를 얻습니다.
- 전문성 유지 : 지속적으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갈등 예방 : 이해상충 상황을 최소화하고, 판단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합니다.
🌟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 비교 표
정의 | 삶의 방식, 기준, 신념; 무엇을 우선시하는지를 결정함 | 사회적 관계에서 지켜야 할 도리와 행동 기준; 옳고 그름 판단 기준 |
기능 | 사회복지사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일할지 방향 제시 | 윤리적 갈등 해결, 클라이언트 보호, 전문성 유지, 사회복지사 행동 기준 제공 |
중요성 | 인간 존엄성 보호, 사회 정의 실현, 전문성 유지와 자기계발 유도 | 도덕적 딜레마 해결, 신뢰 형성, 갈등 최소화, 판단의 일관성 유지 |
4. 마무리하며
가치와 윤리는 사회복지실천의 심장과도 같습니다.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사회문제와 인간관계 속에서 수많은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치와 윤리는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어줍니다.
비록 때로는 가치와 윤리가 서로 충돌하거나 고민을 안겨줄 수 있지만,
결국 사회복지사에게는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복지를 최우선으로 두도록 돕는 든든한 길잡이가 됩니다.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장애인복지의 ‘탈시설화’ 현황과 전망 (5) | 2025.08.10 |
---|---|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과학적 접근으로서 이타주의 행동이론과 이기주의 행동이론의 이점 (11) | 2025.08.10 |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5) | 2025.08.09 |
사회복지법의 의미와 체계에 대하여 서술하세요. (0) | 2025.08.08 |
현대사회의 변화된 가족의 특징, 이상적인 가족 (0)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