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3)
-
사회복지사, “착한 일 하는 사람?” 그 이미지에 대한 진단과 새로운 관점
오늘은 직업이 사회복지사라고 하면 주변에서는 아직도 좋은 일 또는 착한 일 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비친 사회복지사의 이런 이미지는 적절한 것인지(어떤 점에서 적절한 것인지), 아니면 잘못된 것인지(잘못된 것이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서론 – 사회복지사를 보는 사회의 시선많은 사람들이 사회복지사를 ‘좋은 일’, ‘착한 일’ 하는 사람으로 인식합니다. “남을 돕고,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직업”이라는 평가는 이제 사회복지사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되었죠. 실제로 “복지현장에서 일한다”라고 하면 주변에서는 ‘고생 많다’, ‘훌륭하다’, ‘봉사정신 있다’는 반응이 먼저 돌아옵니다. 이런 이미지는 어느 정도 사회복지사의 본질과 맞닿아 있지만, 한편으로는 오해와 편견의..
2025.08.25 -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태도와 역량 그리고 준비 방법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태도와 역량 그리고 준비 방법안녕하세요, 오늘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사회적 다양성이 점점 확대되는 시대에 사회복지사로서 우리가 갖추어야 할 태도와 역량, 그리고 실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자세히 정리해 두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이란?우리가 살아가는 한국사회는 이제 다문화 사회로 확실히 접어들었습니다. 다양한 인종, 민족, 언어, 종교, 가족구성원을 가진 분들이 새롭게 이웃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사회복지사는 단순히 서비스를 전달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고, 각 개인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2025.08.17 -
예비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신뢰감·희망 증진 노력
1. 서론 – 왜 ‘신뢰’와 ‘희망’이 중요한가?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는 단순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이 아니라, 인간 대 인간의 동반자 관계에서 출발합니다. 특히, 어려움과 위기 속에서 도움을 청하는 클라이언트는 불안, 절망, 불신을 안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때 사회복지사가 먼저 해야 할 일은 문제 해결의 기술을 제시하는 것보다, 클라이언트가 안심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꺼낼 수 있도록 ‘신뢰’를 형성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입니다.예비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이는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실천기술을 통해 구체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입니다.2. 신뢰감 형성을 위한 노력2-1. 진정성 있는 경청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이야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질 때 비로소 ..
2025.08.14